영화의 소재로 자주 많이 사용된 스포츠는 단연 권투다. 권투를 소재로 활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죽지 않는 한 계속되는 삶이, 드러눕지 한 빠져나갈 수 없는 한정된 공간에서 벌어지는 사투가 죽을 때까지 투쟁해야 하는 인간의 삶과 미묘하게 닮아 있기 때문이다
때는 바야흐로 대공황 시대, 1935년 6월께 한 때 무패 행진을 달리며 촉망받던 복서였지만, 오른손 부상과 여래 악재가 겹치며 그저 그런 무명 복서로 전락한 제임스 브래독이 세계 챔피언인 막스 베어와의 싸움을 앞두고 기자가 묻는다. 대체 당신을 여기까지 오게 한 원동력은 무엇인가라고. 무엇이 변했기에 당신은 은퇴할 나이에 재기를 할 수 있던 것이냐고. 브래독이 대답한다.
"과거에는 명예를 위해 싸웠지만, 지금은 ‘우유(milk)’를 위해 싸운다"
자신이 승리하지 못하면 대전료를 받아가지 못한다면 그의 삶과 가정은 무너진다. 브래독은 우유를 얻기 위해 링 위에 오른다.
인간은 태어나면서 동시에 투쟁한다. 늘 무언가 맞서 싸워 쟁취해야만 한다. 누구는 세상과 싸운다. 누구는 신념을 위해 싸운다. 또 다른 누구는 명예를 위해 싸운다. 가장 슬픈 싸움은 생존을 위한 사투다. 제임스 J 브래독은 생존을 위해 링에 오른다. 그가 링에 오르는 이유는 단 하나, 살아남기 위해서다. 남편으로서 아버지로서, 한 가장으로서 그는 링 위에 올라야 한다. 챔피언이 되고 싶다거나 영웅이 되고 싶은 마음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그것보다 중요한 것은 우유다.
한 때 세계챔피언이었던 남자다. 대공황 시기에 맞물리며 부두노동자로 전락한 브래독의 삶은 무너졌다. 브래독의 삶만 무너진 건 아니었다. 당시를 살았던 대부분의 가정이 파탄났다. 과거의 부와 명예는 온데간데 없이 사라졌다. 브랙독은 이제 전기세나 하루 먹거리를 걱정해야할 처지다. 거기에 먹여 살려야할 자식도 셋이나 있다. 가장으로서 자존심이 무너지는 순간 브래독은 좌절한다.
스포츠 영화에는 일종의 불문율이 있다. 대부분 실화를 바탕으로 하며 인간 고유의 투쟁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대부분 비슷한 이야기를 한다. 그런 스포츠 영화 중에서도 신데렐라맨만이 가진 특별함이 있다. 그 특별함은 아마도 지켜야할 무언가가 있는 이가 가지는 처절함과 간절함이라고 말할 수 있겠다.
기존 스포츠 영화는 스포츠를 통해 성장하고 인간 본연의 가치와 인정 투쟁을 통해 자신의 자아를 찾는 것이 주를 이뤘다. 신데렐라맨은 궤를 조금 달리하는 부분은 인간 본연의 가치나 철학보다는 철저하게 생존이 중요하다. 경제가 파탄나고 국가의 시스템은 개인과 가정을 지켜주지 못했다. 결국 개인과 가정을 지키는 것은 나 자신이며 그것을 성취하는 것도 나 자신이다. 종종 그들은 아버지, 남편, 아들이라는 이름으로 대신 불릴 뿐이다.
이 영화에서 내가 꼽는 최고의 명장면이자 가장 슬픈 장면은 제임스 브래독이 권투위원회를 찾아가 돈을 구걸하는 장면이다. 그는 쓰고 있던 헌팅캡을 벗어 위원회 사람들에게 적선을 부탁한다. 인간으로서의 자존감, 챔피언으로서의 투쟁심따윈 가장의 의무감으로 아래 무참히 벗어던진 것이다. 결코 쉽지 않은 일이다. 아니, 목에 칼이 들어와도 하기 싫은 일, 할 수 없는 일이다.
그러나 그는 온갖 조롱과 조소의 눈빛을 감내하고 헌팅캡에 사람들이 준 돈을 들고 가정으로 복귀한다. 전기가 끊겨 친척에게 보냈던 아이들이 집으로 돌아온다. 아내와의 불화도 잠시 사그러 든다. 아내가 돈을 어디서 구했냐는 물음에 그는 티미한 미소만을 지을 뿐이다. 이걸로 됐다. 브래독의 모든 자존심과 투쟁심은 이걸로 된 것이다. 말은 하지 않았지만, 브래독의 그 웃음은 분명히 그렇게 말하고 있었다.
제임스 브래독에게 남자로서 묻고 싶어졌다. 정말 이걸로 된 것인가. 이것이면 한 인간으로, 남자로서의 당신은 이것으로 족한가 하고. 그러나 묻을 수 없었다. 내 물음에 대한 대답은 이미 세상 모든 아버지들의 답일테니까 말이다.
신데렐라는 '잿빛 아가씨'란 뜻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신데렐라 이야기는 시대를 막론하고 계속해서 재탄생된다. 신데렐라맨은 '잿빛 아가씨'가 아닌 잿빛 노동자가, 두 주먹 하나로 처절한 사투를 통해 결국 자랑스러운 아버지가 되는 동화로 다시 태어난 것이다.
제임스 브래독은, 아니 세상 모든 아버지들은 잿빛 아저씨이다. 밖에서 어따간 재를 쓰고 돌아와도 가정으로 돌아오면 그들은 비로소 의미를 가진 존재가 된다. 대중들이 열광했던 브래독은 비범한 인물이 아니었다. 그는 대공황 시대에 어디에나 있는 노동자였을 뿐이었다. 브래독은 그가 철저하게 싸워 얻은 대전료로 자신의 생존에 도움을 준 구제 기금을 갚았다. 굳이 갚지 않아도 되었다. 그러나 그는 그 돈을 갚음으로 자신이 특별하지 않은 보통 사람임을 증명했다.
그리고 비로소 신데렐라맨으로 그는 다시 태어난다.
<라라랜드>-모두에게 해피엔드 (0) | 2020.03.14 |
---|---|
<노숙자블루스> - 두 남자의 인생 최대 에피소드 (0) | 2020.03.13 |
<TEN> - 폭력이 모든 것을 정화시킨다 (0) | 2020.03.13 |
<D.P 개의 날>- 도망친 곳에 낙원은 없다 (0) | 2020.03.13 |
<고백부부> - 결국은 앞으로도 뒤로도 갈 수 없다 (0) | 2020.03.13 |